블록 스토리지 포맷 및 마운트
블록스토리지를 Linux/Windows 가상서버에 연결(마운트) 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안내합니다.
본 메뉴얼은 사용중인 서버 운영체제별로 하단 탭을 선택한 후 확인하실 수 있는 가이드입니다.
- Linux
- Windows
1. 블록 스토리지 장착 여부 확인
먼저 서버에서 블록스토리지가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root@iwinvtest ~]# fdisk -l
출력 예시는 다음과 같습니다.
OS 디스크
Disk /dev/vda: 26.8 GB, 26843545600 bytes
139 heads, 8 sectors/track, 47148 cylinders
...
/dev/vda1 2 47149 26213376 83 Linux
블록 스토리지 디스크
Disk /dev/vdb: 10.7 GB, 10737418240 bytes
16 heads, 63 sectors/track, 20805 cylinders
...
Disk identifier: 0x00000000
2. 블록 스토리지 파티션 설정
디스크 용량에 따라 블록스토리 파티션 설정 시 도구가 다르기 때문에 이에 맞 춰 설정하도록 합니다.
| 디스크 용량 | 파티션 도구 | 비고 |
|---|---|---|
| 2TB 이하 | fdisk | MBR 방식 지원 |
| 2TB 초과 | parted | GPT 방식 필수 |
fdisk로 파티션 설정할 경우
디스크 용량이 2TB 이하 일경우 fdisk로 파티션을 설정하도록 합니다.
[root@iwinvtest ~]# fdisk /dev/vdb
실행 중 입력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Command (m for help): n (입력)
Command action
e extended
p primary partition (1-4)
p (입력)
Partition number (1-4): 1 (입력)
First cylinder (1-20805, default 1): (엔터입력)
Using default value 1
Last cylinder, +cylinders or +size{K,M,G} (1-20805, default 20805): (엔터입력)
Using default value 20805
Command (m for help): wq (입력)
wq 입력 시 파티션 정보가 저장되고, 디스크 테이블이 갱신됩니다.
parted로 파티션 설정할 경우
디스크 용량이 2TB 초과 일경우 parted로 파티션을 설정하도록 합니다.
[root@iwinvtest ~]# parted /dev/vdb
실행중 입력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GNU Parted 3.2
Using /dev/vdb
Welcome to GNU Parted! Type 'help' to view a list of commands.
(parted) mklabel gpt # GPT 파티션 테이블 생성
(parted) mkpart primary ext4 0% 100% # 전체 영역 1개 파티션
(parted) print # 파티션 확인
(parted) quit
3. 블록 스토리지 포맷
생성된 파티션(/dev/vdb1)을 ext4 파일시스템으로 포맷합니다.
[root@iwinvtest ~]# mkfs.ext4 /dev/vdb1
mkfs.ext4 : ext4 포맷으로 새 파일시스템을 생성합니다.
출력 마지막에 다음과 같은 문구가 표시되면 정상 완료 입니다.
Writing inode tables: done
Creating journal: done
Writing superblocks and filesystem accounting information: done
4. UUID 확인
마운트 시 UUID를 사용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root@iwinvtest ~]# blkid
출력 예시는 다음과 같습니다.
/dev/vda1: UUID="8328eca5-aa6e-4820-80d9-373ed1627d7c" TYPE="ext4"
/dev/vdb1: UUID="fd68aff1-0dd4-42d2-8ef9-6d6dd1814df1" TYPE="ext4"
5. 블록 스토리지 마운트
이제 /mnt 디렉터리에 블록스 토리지를 마운트합니다.
[root@iwinvtest ~]# mount UUID="fd68aff1-0dd4-42d2-8ef9-6d6dd1814df1" /mnt
다음과 같이 명령어를 입력하였다면, /mnt경로 아래에 디스크 공간이 연결됩니다.
6. 마운트 확인
마지막으로 마운트가 정상적으로 되었는지 확인합니다.
[root@iwinvtest ~]# df -Th
출력 예시는 다음과 같습니다.
Filesystem Type Size Used Avail Use% Mounted on
/dev/vda1 ext4 25G 643M 23G 3% /
/dev/vdb1 ext4 9.8G 23M 9.2G 1% /mnt (마운트 성공)
/dev/vdb1이 /mnt에 표시되면 마운트가 성공입니다.
리부팅 후에도 해당 마운트를 유지할 경우 /etc/fstab에 UUID를 등록해두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1. 디스크 관리 실행
추가한 블록스토리지를 설정하기 위해 디스크 관리(disk Management) 창으로 진입합니다.
방법 1 - 실행창을 통해 진입
Windows 키 + R입력- 실행창에
diskmgmt.msc입력 후 Enter

직접 입력 시 바로 디스크 관리 창이 열립니다.
방법 2 - 제어판을 통해 진입
- 제어판 → 시스템 및 보안 → 관리 도구 → 컴퓨터 관리
- 좌측 메뉴에서 디스크 관리 선택

2. 블록스토리지 확인
디스크 관리 창에서 새로 추가한 10GB 블록스토리지가 디스크 1로 표시됩니다.

만약 디스크가 자동으로 표시되지 않을 경우 "디스크 다시 검색"을 클릭합니다.
3. 디스크 상태 변경
새로 추가된 디스크는 기본적으로 오프라인 상태입니다.
디스크 1을 우클릭- 온라인으로 설정 선택

↓

디스크가 온라인으로 변경되면 상태 표시가 회색 → 검정색으로 바뀝니다.
4. 디스크 초기화
이제 디스크를 사용할 수 있도록 초기화를 진행합니다.
디스크 1을 우클릭 → 디스크 초기화- 아래 두 가지 형식 중 하나를 선택

| 파티션 형식 | 설명 |
|---|---|
| MBR (Master Boot Record) | 2TB 미만 디스크에서 사용 가능. 대부분의 일반 SSD/HDD에 적합 |
| GPT (GUID Partition Table) | 2TB 이상 대용량 디스크용. 부팅 영역 없이 데이터 저장용으로 사용 가능 |

본 예제에서는 10GB SSD 블록스토리지를 사용하므로 MBR 형식으로 초기화합니다.
5. 새 단순 볼륨 생성
디스크 초기화가 완료되면, 파티션을 생성해야 합니다.
할당되지 않음영역을 우클릭 → 새 단순 볼륨(New Simple Volume) 선택- 단순 볼륨 만들기 마법사 실행됨






6. 마운트 완료 확인
볼륨 생성이 완료되면 새 디스크가 자동으로 마운트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