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건너뛰기

클라우드 소개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cloud compute info
클라우드는 물리적인 서버 인프라에 국한되지 않고, 네트워크를 통해 가상화된 자원을 필요한 만큼 유연하게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사용자는 직접 장비를 구축하거나 관리하지 않아도, 인터넷을 통해 원하는 기능을 즉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클라우드 컴퓨팅은 이러한 자원 제공 방식을 기반으로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 모델을 제공합니다.
대표적으로는 인프라를 제공하는 IaaS, 개발 및 실행 환경을 제공하는 PaaS, 소프트웨어를 서비스 형태로 제공하는 SaaS가 있으며, 각각의 목적에 맞게 선택할 수 있습니다.

iwinv는 이 모든 영역을 아우르는 클라우드 플랫폼으로, 가상 서버, 백업, DB, 보안, 모니터링, 콘텐츠 전송 등 다양한 클라우드 서비스를 통해 각자의 요구에 맞는 IT 환경을 쉽게 구축하고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본 문서에서는 클라우드 컴퓨팅의 기본 개념과 함께, 이를 실현하는 다양한 서비스 모델들을 소개합니다.

iaas pass sass

IaaS (Infrastructure as a Service)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 인프라 자원을 가상 환경으로 제공하는 방식입니다. 사용자는 운영체제를 설치하고 필요한 환경을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습니다.

iwinv 예시:

  • 서버 / GPU 서버 / 베어메탈 서버: 다양한 성능의 서버 인스턴스를 제공해 목적에 맞는 환경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
  • 블록스토리지 / NAT Gateway / 로드밸런서: 스토리지 확장, 네트워크 분리, 트래픽 분산 기능을 통해 안정적인 인프라 운영이 가능합니다.

PaaS (Platform as a Service)

개발 환경, DB 등 플랫폼을 제공하여 개발자는 인프라 운영 없이도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iwinv 예시:

  • SQL 호스팅 / MySQL, PostgreSQL, MongoDB 등: 데이터베이스 인프라를 직접 구성하지 않고도 DB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어 빠른 개발이 가능합니다.
  • 컨테이너 / 웹호스팅_컨테이너형: 설정이 완료된 컨테이너 플랫폼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손쉽게 배포할 수 있습니다.

SaaS (Software as a Service)

웹을 통해 소프트웨어를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설치 없이 바로 사용 가능하며, 유지보수도 필요 없습니다.

iwinv 예시:

  • 테라 웹메일 / 그룹웨어: 별도 설치 없이 웹에서 메일 및 협업 도구를 바로 사용할 수 있는 비즈니스 환경을 제공합니다.

iwinv 특징


iwinv 클라우드 설명이미지

iwinv는 컴퓨팅, 스토리지, 네트워크, 보안, 콘텐츠 전송, 관리 서비스 등 IT 인프라 전반을 아우르는 통합 클라우드 플랫폼입니다.
사용자는 목적에 따라 필요한 서비스를 선택해 조합할 수 있으며, 소규모 웹사이트부터 대규모 비즈니스 환경까지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유연한 확장성과 관리 편의성

iwinv는 다양한 컴퓨팅 자원(서버, GPU, 베어메탈), 스토리지(오브젝트, 블록, NAS), 네트워크 기능(로드밸런서, NAT Gateway)을 제공하여 비즈니스 요구에 따라 환경을 빠르게 구성할 수 있습니다. 오토스케일링, 로드밸런서, 모니터링 알림 기능을 통해 트래픽 급증 시에도 안정적인 서비스를 유지할 수 있으며, Zabbix 기반의 모니터링으로 시스템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합리적인 요금 체계

iwinv의 클라우드 서비스는 시간, 일간, 월간 단위로 사용량을 측정하며, 누적 사용량에 따라 할인 혜택이 적용됩니다. 필요한 만큼만 사용하는 구조로 과도한 비용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량에 따라 자동 후불 결제되는 방식으로 결제 걱정 없이 서비스를 지속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보안과 안정성

클라우드 서비스에서 중요한 보안과 백업도 빠짐없이 제공합니다. iwinv는 독립적인 데이터센터 기반으로 서비스를 운영하며, ELCAP 방화벽, SSL, 백신, 웹 취약점 점검 등 다양한 보안 기능을 갖추고 있습니다. 또한 유료 백업 서비스를 통해 정기적인 데이터 보호가 가능하며, 이중화 및 재해복구(DR) 환경 구성도 지원하여 데이터 손실에 대비할 수 있습니다.